인구수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0년 제주도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의 현황 블로그 방문자를 분석해 보니 인구수 정보를 알고 싶어 하시는 분이 많이 계신 것 같아 번외 편으로 준비했습니다. 자연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바람과 물이 맑은 도시, 제주도의 인구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주도는 2020년 4월 기준으로 670,595명이 살고 있습니다. 이중 남자 인구수는 337,119명(50.3%)이고 여자 인구수는 333,476명(49.7%)입니다. 제주도의 인구수는 2018년까지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1년~2018년까지는 매년 1만 명 이상 인구가 늘어났습니다. 최근에는 조금 감소하는 추세로 보입니다. 2019년도에는 인구수 증가가 3천 명 수준 발생했으며 증가폭이 크게 줄었습니다. 2020년 4월에는 2019년 대비 약 300명가량 인구가 줄었습니다. 제주도의 연.. 더보기 세대수 증감이 부동산 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 폭락론자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 결국 일본처럼 버블이 터지면 부동산이 폭락할 것이다. 일본 이야기는 나중에 하겠습니다. 오늘은 인구와 세대수 이야기만 하겠습니다. 인구수와 세대수 추세를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시장 방향을 예측할 때 인구가 아닌 세대수를 봐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세대수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먼저 우리나라 인구수 추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총 1960년 2,501만 명이었던 인구수는 2028년에 5,194만 명으로 최대치가 됩니다. 인구성장률은 지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발표 시점인 2017년의 인구는 5,136명이며, 인구성장률은 0.28%입니다. '우리나라 인구는 2028년.. 더보기 서울과 부산의 과거 데이터를 통한 인구와 부동산 가격 간의 상관관계 분석 인구와 부동산 가격 간의 상관관계에 설명하고자 합니다. 과연 인구가 줄어들면 아파트 가격이 떨어질까요? (인구는 통계청 데이터, 부동산 가격은 KB리브온 사이트에서 가져왔습니다.) 다음은 전국 인구와 아파트 가격의 추이입니다.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습니다. 2017년부터는 기울기가 매우 완만한 것을 보아 과거와 같은 증가세를 보이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1992년~2001년 까지는 아파트 가격이 보합세를 그리고 있습니다. 그러다 2002년부터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보합 - 상승 - 보합 - 상승의 사이클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그래프는 전국의 아파트 데이터라 세부적인 확인이 불가능 합니다. 더 세분화된 지역을 분석해 봐야 인구수와 아파트 가격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