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아파트 상태를 꼼꼼하게 점검하는 방법

부동산 매수를 위해 물건을 확인할 때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두면 꼭 필요한 내용을 빠지지 않고 점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제가 사용하는 체크리스트입니다. 아래 내용을 상황에 맞게 보완하여 부동산 현장 답사 시 부동산 소장님께 물어볼 내용과 물건 상태를 체크할 때 각각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1. 부동산 소장님 문의 체크 리스트

아래 내용은 인터넷으로 대부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대부분 확인했다면 전부 다 질문할 필요는 없습니다. 확인하는 정도로만 넘어가고 인터넷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유흥가 여부, 악재 여부, 선호하는 동/호수 정도만 상세히 확인해 보면 되겠습니다.

문의내용 기록
매수 주체는 투자자? 실거주자?  
급매물 있는지? 급매 나온 이유?  
매매 소진은 빠른지?  
전세 매물 있는지? 소진 빠른지?  
호재 있는지? (교통, 일자리)  
학군은? 학원가는?  
초등학교는 주변에 있는지?  
상권은? 유흥가가 주변에 있는지?  
주변에 악재가 있는지?  
선호하는 동, 호수? (로얄동, 로얄층)  
...  

 

 

2. 물건 상태 점검 체크 리스트

아파트는 대부분 구조가 비슷하다 보니 몇 번 가다 보면 익숙해져서 아래의 체크리스트 없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익숙해 지기 전까지는 아래 체크리스트를 활용해서 빠지지 않고 점검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팁을 말씀드리면 현관문에 들어서면서 한쪽 방향(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벽을 따라가면서 확인하면 빠지지 않고 모든 방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확인사항 기록
현관문 상태 (손상여부 등)  
신발장 상태 (낡음, 손상여부 등)  
벽지 상태 (찟어짐 확인, 벽면 상태도 확인)  
조명 상태 (불이 잘 들어오는지 등)  
보일러 상태 (보일러 연식, 작동 잘 되는지 등)  
누수 상태 (천장 확인, 벽면 곰팡이 여부)  
바닥 상태 (장판/마루 상태, 곰팡이 여부)  
콘센트 상태 (낡았는지, 깨진곳 확인)  
손잡이 상태 (잘 작동되는지 확인)  
방문 상태 (낡음 상태 확인)  
씽크대 상태 (물빠짐 확인)  
화장실 타일 (깨짐 여부 확인)  
화장실 배수 상태 (물빠짐 확인)  
화장실 시공 상태 확인 (줄눈 등)  
베란다 시공 상태 확인 (곰팡이 방지 등)  
...  

 

보통은 부동산 소장님과 함께 물건을 확인하러 가기 때문에 소장님께 집 상태에 대해 많이 코멘트를 들을 수 있습니다. 큰 부담 갖지 않고 가시면 되겠습니다.